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jhHFd%2Fbtq1MqXlApw%2FWzDC5zMGAAmCdv0legXeUK%2Fimg.png)
natas4.natas.labs.overthewire.org/ natas4/Z9tkRkWmpt9Qr7XrR5jWRkgOU901swEZ 로 로그인 "http://natas5.natas.labs.overthewire.org/"에서만 접속이 허용된다고 한다. Refresh page를 눌러보았다. 내가 접근한 경로가 바뀌었다. Refresh page 버튼을 활용하면 될 것 같다. f12를 눌러 어떻게 작동되는지 살펴보니, referer에 natas4가 연결되어있다. 이 부분을 natas5 페이지로 바꿔줄 것이다. 이를 위해서는 burp suite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. burp suite 사용법에 관해서는 다음 참조. 더보기 1. 다운로드 및 설치: portswigger.net/burp 2. 프록시 설정에서 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v1tgH%2Fbtq1MrPuJwO%2FrVD8hVWPXkRlAg2dktS4o0%2Fimg.png)
natas3.natas.labs.overthewire.org/ natas3/sJIJNW6ucpu6HPZ1ZAchaDtwd7oGrD14 로 로그인 이 페이지에서 아무것도 찾을 수 없다고 한다. 페이지 소스를 확인해보았다. "No more information leaks!! Not even Google will find it this time..." 이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다. robots.txt와 관련된 내용이다. robots.txt를 확인해본다. 위와 같이 되어있다. 모든 검색엔진 로봇에게 /s3cr3t/의 검색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. 따라서 주소창 뒤에 /s3cr3t/를 추가해 확인해본다. users.txt가 보인다. 들어가서 확인해보자. 패스워드를 찾았다. Password: Z9tkRkWmp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jBh9v%2Fbtq1E8CCDOT%2F5bj15g0zNQ3HWXwZ6JWeCK%2Fimg.png)
www.hackerrank.com/challenges/insertionsort1/problem Insertion Sort - Part 1 | HackerRank Insert an element into a sorted array. www.hackerrank.com Algorithms > Sorting 배열의 크기와 배열이 주어지면, 해당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 단, return 값은 없으며 정렬 과정을 출력해야 한다. 코드 void insertionSort1(int n, int arr_count, int* arr) { //n: 배열의 크기 int temp = arr[n - 1];//비교할 값을 temp에 저장 (배열의 가장 오른쪽 숫자) for (int i = n - 1; i >= 0; i--){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zSn4o%2Fbtq1bgivcEX%2FDtKxE6EypMqm8CElUxb461%2Fimg.jpg)
네트워크 - 랜(LAN)이나 모뎀 따위의 통신 설비를 갖춘 컴퓨터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켜 주는 조직이나 체계 LAN - 기업이나 조직 등 비교적 좁은 범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- LAN 케이블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선 LAN과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LAN으로 구분 - 장치를 연결하는 형식(topology)에 따라 링형, 버스형, 스타형 등으로 구분 링형 - 장치들이 원형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, 데이터 전송을 위해 토큰(token)을 사용 - 토큰을 획득해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버스형 - 하나의 통신 회선에 장치들을 연결 - 데이터를 목적지 주소와 함께 버스에 연결된 모든 장치들에게 전송, 데이터를 받은 장치들이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여 자신에게 보내진 데이터이면 받..